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물가는 계속 상승한다!
    우리돈얘기 2020. 4. 15. 10:19

     

     

    2020년 3월 통계청 전망에 따르면

    소비자물가가 1.0% 상승했습니다

     

     

     

    통계청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했습니다.

    농수산물과 공업제품, 전기, 수도, 가스, 서비스까지

    다 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딸기 1kg 가격은 

    1980년 1,536원에서

    2019년 12,030원으로

    증가했습니다.

     

     

    뉴스에서 소비자물가지수가 올랐다고 하면 기분이 나쁘시죠?

    우리에 생활에서 바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경제가 안 좋다고 나오는 뉴스는 체감하기가 힘들지만

    물가가 올랐다고 하면 우리 생활에 바로 체감되기 때문입니다.

    마트에 가서 장을 보면 금방 느껴집니다.

     

    내 통장에 들어오는 월급은 똑같은데

    똑같은 돈으로 더 조금밖에 못 사는 현실이 되는 거죠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에서는

    물가가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없습니다.

     

    물가는 왜 상승만 할까요?

    물가가 매년 오르는 이유는

    자본주의 때문입니다.

     

    왜 자본주의에서는 물가가 오를 수밖에 없을까요?

     

     

    시중에 돈의 양이 많아지면서

    돈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공장에서 재고가 계속 쌓이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사는 사회에도 돈이 쌓여있어요.

     

    그렇기 되면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같은 돈을 주고도 같은 물건을 못 사게 됩니다.

    돈이 쌓이는 것은 실제로 종이화폐가 쌓이는 것도 있지만

    은행의 대출 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m.newsway.co.kr/news/view?tp=1&ud=2019012211200906727

     

    은행에서는 고객이 은행에 돈을 보관하면

    그 돈으로 대출을 진행합니다.

    예금의 일부만 남겨두고 거의 대부분의 돈은 대출로 나가요.

    일부 남겨두는 돈은 10%이며

    지급준비율이라고 합니다.

    지급준비율은 고객이 돈을 찾으러 왔을 때를 대비한 돈입니다.

     

    내가 은행에 돈을 넣은 통장에는 숫자만 있을 뿐

    실제로는 10%지급준비율로 남기고 나머지90%

    다른 사람에게 대출되고 있습니다.

     

    내 통장에 있는 숫자와 대출받은 사람의 통장에 찍힌 숫자는

    실제 내 돈을 가져다가 찍힌 숫자가 아니기 때문에

     

    가상의 숫자로 통장에 돈을 찍어놓은 것입니다

    그러니까 돈을 창조하고 있는 것이죠

     

    통장에 찍혀있는 금액은 가상의 숫자입니다.

    우리 모두가 동시에 은행에 맡겨놓은 돈을 찾는다면

    은행은 그 돈을 동시에 지급하지 못할 것입니다.

     

    또한 물가는 경제 전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나타납니다.

    물가정책은 국민경제나 산업구조 전체의

    건전화를 통해서만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돈을 찍어내는

    중앙은행과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찾아봤습니다.

     

    인플레이션

     

    https://www.successguide.co.kr/1274

     

    이처럼 통화량이 증가해서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인플레이션으로 겪게 되는 소득감소는 크게 나타납니다.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으로 300만 명 이상이 빈곤해진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빈곤해지지 않았을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가난해 시달립니다.

     

    자본주의 사회는 돈으로 굴러가는 사회가 아닌

    돈을 창조해 내는 사회인 것이죠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02736981

     

    요즘과 같은 제로금리 시대에는

    투자를 하지 않으면 가만히 앉아서

    돈을 잃고 있는 것입니다.

     

    안 해본 길이라 무섭고 떨리지만

    우리는 계속 공부하고 실전으로 부딪히며 투자를 배우고

    우리가 힘겹게 얻은 돈을 지켜내야 합니다!

    화이팅

     

    댓글

Designed by Tistory.